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4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 (1) 【제목풀이】 『시詩』는 311편의 시가 수록된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제목만 남아 있고 가사가 없는 6편을 제외하면 305편이다. 처음에는 『시詩』 또는 『시삼백詩三百』으로 불리었다. 한대 이후 유가 사상이 통치 이념으로 확립되면서, 『시』는 유가의 주요 경전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되어 『시경詩經』으로 불리게 되었다. 『시』의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1. 가도의 ‘은자를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11. 가도賈島의 「은자를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은자를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이다. 시인이 구름이 뒤덮인 깊은 산속에 사는 은자를 만나러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난 뒤에 쓴 시다. 가도賈島(779-843)는 중당 시기의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0 맹교의 「나그네의 노래(유자음游子吟)」

10. 맹교의 「나그네의 노래(유자음游子吟)」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나그네의 노래(유자음游子吟)」이다. 「유자음游子吟」은 본래 악부시의 제목으로 아녀자가 집을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맹교孟郊(751-814)는 이 시에서 어머니의 자애로운 사랑을 읊고 있다. 이 시는 맹교가 율양溧陽의 현위縣尉가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9. 위응물의 「기러기 소리를 들으며(문안聞雁)」

9. 위응물의 「기러기 소리를 들으며(문안聞雁)」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기러기 소리를 들으며(문안聞雁)」이다. 이 시는 위응물이 회남淮南에서 가을비 내리는 밤 높은 누각에 있는 서재에 홀로 앉아 북쪽에서 날아오는 기러기 소리를 듣고 고향을 그리워하며 지은 것이다.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8 유종원의 시

8. 유종원의 시「호초 스님과 함께 산을 바라보다 장안의 친척과 친구에게 부치노라(여호초상인동간산기경화친고與浩初上人同看山寄京華親故)」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여호초상인동간산기경화친고與浩初上人同看山寄京華親故」 이다. 호초 스님과 함께 산 위에 올라 장안에 있는 친척과 친구에게 고향을 그리워하는 자신의 마음을 시로 적어 보낸다는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7. 최호崔顥의 「황학루黃鶴樓」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7. 최호崔顥의 「황학루黃鶴樓」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황학루黃鶴樓」 이다. 황학루는 호북성湖北省 무한시武漢市 장강長江가의 황학산黃鶴山(사산蛇山이라 부르기도 한다)에 있는 누각이다. 강서성 남창의 등왕각滕王閣, 호남성 악양의 악양루岳陽樓와 함께 ‘강남 3대 누각’으로 이름난 곳이다. 원래는 233년 삼국 시대에 오나라 왕 손권이 촉나라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6 하지장의 시

6. 하지장賀知章의 「고향에 돌아와 우연히 쓴 두 수(회향우서이수回鄕偶書二首)」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고향에 돌아와 우연히 쓴 두 수(회향우서이수回鄕偶書二首)」이다. 이 시의 제목에서 ‘우偶’는 고향에 돌아와 우연히 이 시를 지었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마음속 깊은 곳에서 자기도 모르는 상태에서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5. 유장경의 시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5 유장경劉長卿의 「눈을 만나 부용산의 주인집에 머물며(봉설숙부용산주인逢雪宿芙蓉山主人)」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봉설숙부용산주인逢雪宿芙蓉山主人)」이다. 눈이 펑펑 내리는 날 부용산의 주인집에 하룻밤 머물면서 그 감회를 적은 시다. 여기서 부용산은 구체적으로 어디를 말하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유장경劉長卿(709?-790?)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