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ain Navigation

상생문화 열린마당
  • 상생문화 칼럼
    • 증산도 사상
    • 증산도와 한문화
    • 상씨름과 개벽
  • 증산도와 세계문화
    • 역사와 문명
    • 세계문화사상
    • 세계지역문화탐방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 명언 속의 철학
    • 유목민 이야기
  • 북 리뷰
  • 연구소 홈

증산도와 세계문화

2022-11-30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20 마르크스 (3)

3. 노동과 그 자신으로부터 소외된 인간   그는 국가 개념에서 출발한다. 헤겔에서 법을 지닌 국가는 신적 이성의 구현으로 간주됐고 그 때문에 또한 현실 그 자체이기도 했다. 이에 비해 시민사회란 형태에서 […]

세계문화사상
2022-11-21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9 마르크스 (2)

2. 종교와 정치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할 24살의 젊은이   1835년 17세가 된 그는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처음엔 본으로 간다. 그러나 1년 후 그는 법학을 공부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다시 베를린으로 […]

세계문화사상
2022-11-11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8 마르크스 (1)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   1. ‘카를 마르크스’, 더 나은 삶에 대한 상징   부모들은 그를 행운아로 여겼다. 그리고 그가 언젠가 드높은 명예를 얻기를 바랐다. 이것은 약 2백여 년 […]

세계문화사상공산주의, 독일철학, 마르크스
2022-10-28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7 헤겔(4)

4. 프로이센에 내려앉은 세계이성   헤겔 변증법은 존재-무-생성이란 근본 개념들에 상응하여 3단계의 틀로 이뤄져 있다. 이 세 근본 개념들로부터 그밖의 다른 모든 개념들이 발전돼 나온다. 그뿐만이 아니라 세 개념들은 동시에, […]

세계문화사상
2022-10-18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6 헤겔(3)

3. 역사는 신이 자신을 인식하는 행보   그러나 헤겔의 야심은 그 자신조차 어렴풋이 느끼고 있는 사태를 독자에게 명확하게 밝혀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그의 작품을 이끄는 근본이념은 오히려 다음과 같은 데 […]

세계문화사상
2022-10-07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5 헤겔(2)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5 헤겔(2) 2.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신학교는 엄격한 규율로 학생들을 관리한다. 외출은 정해진 시간에만 허용된다. 수위는 학생들 방에 여자들이 출입하는지 감시한다. 규칙을 어길 […]

세계문화사상
2022-09-27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4 헤겔(1)

변증법적 논리학을 창안한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 “그의 철학은 황제와도 같다” 다음의 주장은 게오르크 빌헬름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이 한 말이다. 한 위대한 인간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을 설명하지 않을 […]

세계문화사상
2022-08-18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3 칸트 (5)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3 칸트 (5) 5. 별들이 빛나는 하늘과 내 마음에 깃든 도덕법칙 이 무렵 칸트는 그간 검소한 생활을 유지한 덕분에 쾨니히스베르크 성城 부근의 프린체신 거리에서 집을 구하고, […]

세계문화사상실천이성비판, 영구평화론, 칸트
2022-08-11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2 칸트 (4)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2 칸트 (4) 4. 경험에 앞서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철학자가 구분하고 있는 또 다른 차이이다. “분석판단”이 이뤄지기 위해서라면 우리는 […]

세계문화사상순수이성비판, 시간과공간, 오성의범주, 칸트
2022-08-05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1 칸트 (3)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1 칸트 (3) 3. 흄을 통해 독단의 잠에서 깨어나다 1770년 무렵 혹은 그보다 더 일찍 “비판적 사유”의 시기가 시작된다. “비판적 사유”는 칸트에게 시대를 초월하는 세계적 명성을 […]

세계문화사상데이비드흄, 순수이성비판, 오성의범주, 칸트

Posts navigation

  • 1
  • 2
  • 3
  • ❯

칼럼 분류

  • 명언 속의 철학 (35)
  • 상생문화 칼럼 (184)
    • 북 리뷰 (6)
    • 상씨름과 개벽 (5)
    • 역사와 문명 (115)
    • 종교와 도道 (10)
    • 증산도 사상 (21)
    • 증산도와 한문화 (36)
  • 우리 역사 찾기 (1)
  • 유목민 이야기 (64)
  • 증산도와 세계문화 (22)
    • 세계문화사상 (22)
  •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4)

링크

  • 상생문화연구소
  • 증산도 공식홈페이지
  • 상생출판
  • 상생방송
  • 월간개벽

사이트 검색

Copyright ©2023 상생문화 열린마당 :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칼럼
▶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