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4 천년의 약속 3 제2장 출가 3) 진표율사에 대한 전기는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국내 기록으로는 고려시대의 고승 일연이 쓴 『삼국유사』 권4 제5 「진표전간眞表傳簡」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이하 「석기」로 줄임)가 대표적이다. 전기는 아니지만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
2023-02-15 노종상 연구위원 쳔년의 약속 2 제2장 출가 (1) “이럇. 이랴 아―.” 왼손으로 갈기를 움켜쥔 채 오른손으로 채찍을 휘두르며 말을 모는 목소리가 청아하다. 달리는 동물은 말이라기보다는 당나귀에 가까울 정도로 작은 체구이다. 그러나 안장에 앉아있는 주인과 […]
2023-01-31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1 1. 화두 1) “따라서 현재의 한류 현상이 크게는 지구화(globalization), 문화의 혼성화(cultural hybridity) 또는 세역화(glocalization), 문화생산과 수용의 권역화(regionalization),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 그리고 문화수용의 능동성(active reception)이라는 다섯 가지의 […]
2022-12-22 원정근 연구위원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 (3) 내 동산에 가서, 오래오래 돌아오지 못했네. 내 동쪽에서 돌아올 제, 가랑비 보슬보슬 내렸네. 내 동쪽에서 돌아가건만, 내 마음 서쪽을 슬퍼하네. 평복을 지어, 다신 하무를 […]
2022-12-22 원정근 연구위원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5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5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 (2) 『시‧패풍‧식미』는 수자리 나간 사람이 아내가 애타게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가고픈 심정을 담은 시다. 훗날 당나라의 시인 왕유王維는 이 시를 활용하여 「위천 땅의 농가(위천전가渭川田家)」라는 시를 지어 집으로 되돌아감의 […]
2022-12-09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9 삼일신고의 수행(5) 귀환歸還의 상향도–성통광명性通光明 (3) 수행의 3단계는 몸에서 세 손길로 작동하는 ‘삼진’을 꿰뚫어서 본연의 ‘하나’로 만들어 ‘성통광명性通光明’, 즉 ‘광명에 통하는 성性’을 향해 나아가는 수련이다. 여기에서 꿰뚫는다는 뜻은 물론 ‘삼진’에 달통達通한다는 것이요, ‘하나’로 만든다는 것은 전변轉變된 ‘삼진’이 생명의 본체로의 회귀回歸, 즉 ‘살아 있는 광명한 신’으로 […]
2022-11-30 김현일 연구위원 신선의 길을 추구한 신라의 천재 최치원 태모 고수부님은 증산도 교단을 처음 세우신 분이다. 증산 상제님이 어천 한 2년 뒤인 1911년의 일이었다. 성도들이 태모님에게 교 이름을 무엇으로 정할지 여쭈었다. 고수부님은 “천하를 통일하는 도인데 아직 때가 이르니 […]
2022-10-28 문계석 연구위원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8 삼일신고의 수행(4)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수행(4) 귀환歸還의 상향도–성명쌍수性命雙修 (2) 수행의 2단계는 오염된 몸의 정화淨化 및 정단精丹을 만드는 과정을 넘어서는 것이다. 그것은 몸을 구성하는 근본根本을 닦는 것인데, ‘신의 마음’이 시공時空 안으로 들어와 전환된 […]
2022-09-15 문계석 연구위원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7 삼일신고의 수행(3)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7 삼일신고의 수행(3) 귀환歸還의 상향도 성명쌍수性命雙修 단 하나뿐인 지구! 여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서로 얽혀 다난하게 살고 있다. 기독교인이든 불교인이든 무슬림이든 무신론자이든, 종교가 다르고 이념이 다르고 인종이 다르고 언어가 다르고 […]
2022-08-24 문계석 연구위원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6 삼일신고의 수행(2)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6 삼일신고의 수행(2) 존재의 하향도, 성명정性命精 삼진三眞 옛날이나 지금이나 철학에서 구명해야할 4대 중심 과제는 존재론存在論과 우주론宇宙論, 인식론認識論과 수행론修行論의 분야로 압축해볼 수 있다. 존재론은 실재實在하는 것을 찾아 그 자체를 해명解明하는 탐구이고, 우주론은 모든 생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