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6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9 제4장 귀촉도 9 “아직 낮인데, 귀촉도가 왜 벌써 우는 걸까!” 진표는 뜨악한 생각이 들어 혼잣말로 뇌었다. 곁눈질로 보니까 용행자는 여전히 좌선 삼매에 빠져 있었다. 진표는 다시 마음을 챙겨 좌선에 들어가려고 […]
2023-06-08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8 제4장 귀촉도 7 개암 조실 도융스님이 백제부흥운동의 지도자 도침의 상좌였다는 말을 들은 진표는 자신의 귀를 의심하였다.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다는 표정이었다. 숲속 작고 외딴 암자인 개암의 한 켠 퇴설당에서 외로이 […]
2023-05-23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7 제4장 귀촉도 4 진표가 출가하기 2년 전이었다. 그러니까 열세 살 때였다. 그날 진표는 진내마와 함께 집을 나서 서남쪽으로 얼마 가지 않아 변산 개암開巖(지금의 개암사)에 도착하였다. 개암은 변산반도의 중턱에 […]
2023-05-16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6 제4장 귀촉도 1) 미륵존불 미륵존불 미륵존불 미륵존불 미륵존불 미륵존불⋯ 그날도 진표 행자는 법당에서 홀로 미륵존불을 부르며 오체투지를 하고 있었다. 1천 일 수행정진 중에 두 달이 지났고, 그날도 벌써 두 […]
2023-04-11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5 제3장 용의 아들 3) 차량은 두 대로 움직였다. 나와 미륵팀 총무 정지원이 탄 SUV 차량은 김현 교수가 운전하였다. 아니, 미륵팀이 김교수의 차에 신세를 지고 있었다. 서울대 사학과 출신으로 […]
2023-04-06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4 제3장 용의 아들 1) 금산사 미륵전에서 실로 오랜만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 까마득히 높은 곳에서 중생의 세계를 바라보고 있는 미륵불을 잠깐씩 올려다보며 이미 망각의 저편으로 아득히 사라진 화두 대신 […]
2023-02-24 천년의 약속 3 제2장 출가 3) 진표율사에 대한 전기는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국내 기록으로는 고려시대의 고승 일연이 쓴 『삼국유사』 권4 제5 「진표전간眞表傳簡」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이하 「석기」로 줄임)가 대표적이다. 전기는 아니지만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
2023-02-15 노종상 연구위원 쳔년의 약속 2 제2장 출가 (1) “이럇. 이랴 아―.” 왼손으로 갈기를 움켜쥔 채 오른손으로 채찍을 휘두르며 말을 모는 목소리가 청아하다. 달리는 동물은 말이라기보다는 당나귀에 가까울 정도로 작은 체구이다. 그러나 안장에 앉아있는 주인과 […]
2023-01-31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1 1. 화두 1) “따라서 현재의 한류 현상이 크게는 지구화(globalization), 문화의 혼성화(cultural hybridity) 또는 세역화(glocalization), 문화생산과 수용의 권역화(regionalization),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 그리고 문화수용의 능동성(active reception)이라는 다섯 가지의 […]
2022-12-22 원정근 연구위원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 (3) 내 동산에 가서, 오래오래 돌아오지 못했네. 내 동쪽에서 돌아올 제, 가랑비 보슬보슬 내렸네. 내 동쪽에서 돌아가건만, 내 마음 서쪽을 슬퍼하네. 평복을 지어, 다신 하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