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에세이 30 존재는 둥글다 (3) 사방으로 둥글게 트이는 존재

  존재는 둥글다 Ⅲ. 사방四方으로, 둥글게 트이는 존재 전통 형이상학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처럼, 하이데거에서도 존재는 존재자와 관련해서는 ‘존재하게 함’이다. 즉 존재는 “모든 존재자를 존재하게 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존재의 본질이 ‘밝게 드러남’의 비은폐인 만큼, ‘존재하게 […]

철학에세이 28 존재는 둥글다 (1) 존재보다 존재의 의미를

존재는 둥글다 Ⅰ. 존재 ‘보다’ 존재의 의미를 하이데거는 Was heißt Denken? (『사유란 무엇인가?)』에서 존재가 자신을 고유하게 드러낼 때 그 발현發現의 장場이 사유되지 않는 한, 우리는 아직도 적절하게 사유한 게 아니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에 앞서 1929년에 출간된 Die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현상학의 […]

철학에세이 27 ‘왜’라고 묻지 마라 – 3) 장미는 피기 때문에 핀다

‘왜’라고 묻지 마라 – 3) 장미는 피기 때문에 핀다 그러나 또 다른 독일의 시인 괴테는 앞서의 시인과 달리 적극적으로 실재에 대해 자기 주장을 한다. “어떻게? 언제? 어디에? – 신들은 말이 없다. 그대는 때문에(Weil)에 의지하되, 왜(Warum)를 묻지 마라.”(Der Satz vom […]

철학에세이 26 ‘왜’라고 묻지 마라 – 2) 신화神話에서 로고스로, 발현發現에서 근거로

‘왜’라고 묻지 마라 – 2) 신화神話에서 로고스로, 발현發現에서 근거로 존재의 생기生起를 표현하는 테시스나 포이에시스는 폭넓게 보면 작용이나 활동 일반에 속한다. 희랍에서는 이 작용, 활동을 ‘에르곤’(ἔργον)으로 불렀다. 인도 게르만어 ‘우에르그’(uerg)에 어원을 두고 있는 ‘에르곤’은 인과의 관점으로 이해되는 작용이 아니라, ‘어떤 것을 […]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