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7 문계석 연구위원 한민족의 소도 문화 1 『태백일사』의 「소도경전본훈」 『태백일사』는 일십당一十堂 이맥(李陌, 1455~1528)이 1520년 66세의 나이에 찬술纂述한 역사경전이다. 그가 『태백일사』를 찬술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왕조의 10대 임금인 연산군 14년(1503)에 정사의 기록을 맡아 관리하는 춘추관의 편수관編修官을 겸임하면서 역사에 […]
2023-02-24 천년의 약속 3 제2장 출가 3) 진표율사에 대한 전기는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국내 기록으로는 고려시대의 고승 일연이 쓴 『삼국유사』 권4 제5 「진표전간眞表傳簡」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이하 「석기」로 줄임)가 대표적이다. 전기는 아니지만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
2023-02-15 노종상 연구위원 쳔년의 약속 2 제2장 출가 (1) “이럇. 이랴 아―.” 왼손으로 갈기를 움켜쥔 채 오른손으로 채찍을 휘두르며 말을 모는 목소리가 청아하다. 달리는 동물은 말이라기보다는 당나귀에 가까울 정도로 작은 체구이다. 그러나 안장에 앉아있는 주인과 […]
2023-02-15 김현일 연구위원 프랑스인들의 족보열풍 필자가 예전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놀란 것 가운데 하나가 프랑스인들의 족보연구 붐이었다. 프랑스인들이 역사를 좋아한다는 말은 익히 들은 바 있지만 역사학자가 아닌 많은 일반인들이 고문서보관소(archives)에 와서 고문서를 열람하는 […]
2023-02-14 정원식 연구위원 최근 美·日정상 회담과 미국의 동아시아 해양패권의 실체 2023년 계묘년 새해 벽두부터 동아시아의 패권경쟁 구도에서 동아시아 역내 중국과 북한을 겨냥한 일본과 미국 간의 밀착 행보가 심상치 않다. 지난 1월 13일 미 백악관은 미일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국제질서에 어긋나는 중국의 […]
2023-02-13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22 쇼펜하우어 (1) 우리는 더 나은 세상에 살고 있지 않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 삶은 당혹스런 사건 그는 이미 17세 때 “병과 고통, 죽음을 목격하고, 마치 젊은 부처가 그랬던 것처럼 삶의 연민에 […]
2023-01-31 노종상 연구위원 천년의 약속 1 1. 화두 1) “따라서 현재의 한류 현상이 크게는 지구화(globalization), 문화의 혼성화(cultural hybridity) 또는 세역화(glocalization), 문화생산과 수용의 권역화(regionalization),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 그리고 문화수용의 능동성(active reception)이라는 다섯 가지의 […]
2023-01-31 정원식 연구위원 일본의 안보전략 변화 방패와 창 모두 갖춘 보통국가 일본의 등장… 우리의 준비는? (본 칼럼은 필자가 2022년 12월 28일자 한겨례신문 기고한 칼럼을 가필 보완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2년 12월 16일 내각회의에서 ‘적 […]
2022-12-22 원정근 연구위원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6 『시詩‧빈풍豳風‧동산東山』 내 동산에 가서, 오래오래 돌아오지 못했네. 내 동쪽에서 돌아올 제, 가랑비 보슬보슬 내렸네. 내 동쪽에서 돌아가건만, 내 마음 서쪽을 슬퍼하네. 평복을 지어, 다신 하무를 물지 […]
2022-12-22 전원철 연구위원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2 우선 가락국과 대가야국의 기원에 관해 고려 초에 편찬한 《사기》와 <유사> 류를 비롯하여 그 뒤 조선 시대에 기록한 여러 사서들 중 《기언》의 상기 부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석이정전釋利貞傳〉에 이르기를, “대가야는 초기에 신녀神女가 있었는데, 이비가夷毗訶에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