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9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1 고대사에서 우리 한민족사뿐만 아니라, 일본사와 연관해서도 중요한 우리 고대국가가 육가야 연맹이다. 이 가야연맹은 시조 김수로가 세운 가락국을 포함하여 그의 여섯 형제들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들이다. 이 중 대표적인 나라인 가락국은 시조 김수로왕을 1대로 하여 모두 10세대 491년을 […]
2022-12-06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21 마르크스 (4) 4. 위대성에 비해 너무나 적게 주목받은 여성 런던으로의 망명과 동시에 마르크스 가족의 비극은 시작된다. 가장家長은 전혀 안정된 수입을 갖지 못했다. ‘뉴욕 데일리 트리뷴’ 같은 신문에 글을 발표하는 등의 기고 […]
2022-12-06 원정근 연구위원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14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 (1) 【제목풀이】 『시詩』는 311편의 시가 수록된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제목만 남아 있고 가사가 없는 6편을 제외하면 305편이다. 처음에는 『시詩』 또는 『시삼백詩三百』으로 불리었다. 한대 이후 유가 사상이 통치 이념으로 확립되면서, 『시』는 유가의 주요 경전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되어 『시경詩經』으로 불리게 되었다. 『시』의 […]
2022-11-30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20 마르크스 (3) 3. 노동과 그 자신으로부터 소외된 인간 그는 국가 개념에서 출발한다. 헤겔에서 법을 지닌 국가는 신적 이성의 구현으로 간주됐고 그 때문에 또한 현실 그 자체이기도 했다. 이에 비해 시민사회란 형태에서 […]
2022-11-30 김현일 연구위원 신선의 길을 추구한 신라의 천재 최치원 태모 고수부님은 증산도 교단을 처음 세우신 분이다. 증산 상제님이 어천 한 2년 뒤인 1911년의 일이었다. 성도들이 태모님에게 교 이름을 무엇으로 정할지 여쭈었다. 고수부님은 “천하를 통일하는 도인데 아직 때가 이르니 […]
2022-11-21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9 마르크스 (2) 2. 종교와 정치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할 24살의 젊은이 1835년 17세가 된 그는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처음엔 본으로 간다. 그러나 1년 후 그는 법학을 공부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다시 베를린으로 […]
2022-11-11 황경선 연구위원 철학자들, 그들의 깊은 사유와 ‘웃픈’ 삶 18 마르크스 (1)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 1. ‘카를 마르크스’, 더 나은 삶에 대한 상징 부모들은 그를 행운아로 여겼다. 그리고 그가 언젠가 드높은 명예를 얻기를 바랐다. 이것은 약 2백여 년 […]
2022-11-10 Oleksandr Ishchuk Between East and West: Trypillian culture and its place in civilizational processes (Part III) The migration of Indo-Europeans from the East to the West is often discussed in European and American publications. In particular, in the book “History of the English”, researchers Robert Makram, […]
2022-11-09 Oleksandr Ishchuk Between East and West: Trypillian culture and its place in civilizational processes (Part II) Studying the sites in the Talyanka settlement, expert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walls of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s were in the form of a log cabin. […]
2022-11-08 김현일 연구위원 올렉산더 이슈추크 박사의 “동방과 서방 : 동유럽 트리필리아 문화와 문명사에서 갖는 위치” 상생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본 연구소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올렉산더 이슈추크 박사는 우크라이나의 키이우(키예프) 국립박물관에서 근무하는 고고학자이다. 그는 한국에도 와서 우크라이나 고고학에 관한 발표를 한 적이 있으며 우리에게 여러 번에 걸쳐 […]